which
whereis
locate
find

Solaris 의 경우, whereis 등은, /usr/ucb 안에 보통 들어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HP UX

11.xx 일 경우
# getconf KERNEL_BITS
64

10.xx 일 경우
# getconf LONG_MAX
2147483647
(64비트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IX

현재 load된 kernel 이 32-bit 혹은 64-bit 인지 확인하는 명령어
# bootinfo -K
32

사용중인 machine이 32-bit 혹은 64-bit 인지 확인하는 명령어
# bootinfo -y
32


SOLARIS

# isainfo -kv
64-bit sparcv9 kernel modules
현재 이 시스템은 64bit 커널을 가지고 운영을 하는 시스템 이다.

# isainfo -kv
32-bit sparcv kernel modules
이 시스템은 32bit 커널을 가지고 운영을 하는 시스템이다.

# isainfo -v
64-bit sparcv9 applications 32-bit sparc applications
"-v"만 했을 경우 이 시스템에서는 32bit / 64bit 체계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 isainfo -v
32-bit sparc applications
이 시스템은 32bit 체계의 프로그램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참으로 깔끔하게 잘 정리해놨네. Redhat 계열인 Fedora 나 CentOS 같은 경우는 /etc/DIR_COLORS 스크립트가 있지만, ubuntu 는 그런게 없네. 조금 특이한 방법이기는 하나, 아래와 같이 해서 잘 사용할 수 있다.

Lightbulb Howto: Add custom color to directory listings.

You ever fire up an xterm and perform an "ls" command? Sure you have! If so, did you ever wish that:
  • certain files would "stand out" with a custom color, and not the defaults?
  • you can add other filename extensions to the database with their own custom color as well?
Well, here's how...

NOTE: All commands to be entered in a terminal shell or changes made to a file are hilighted in red. You only need to cut/paste those items which are hilighted, the surrounding text is left for illustration purposes.

1. Edit the '.bashrc' file. You need to make a few small changes to the existing bash script.
  1. (optional) Backup the file. Copy your existing '.bashrc' file in case you wish to restore it at a latter time. For example,
    Code:
    skoal@morpheus:///tmp $ cd && cp .bashrc .bashrc~
    skoal@morpheus://~ $ ls .bashrc*
    .bashrc  .bashrc~
  2. Modify the file. Using your favorite text editor, open the file '~/.bashrc' and make the following changes hilighted in red (which should appear somewhere near the top of that file - line 17 if no prior alterations were made). You will basically be modifying one line and adding two more above it.
    Code:
    skoal@morpheus:///tmp $ gedit ~/.bashrc
    and make these changes in the file,
    Code:
    # enable color support of ls and also add handy aliases
    if [ "$TERM" != "dumb" ]; then
        [ -e "$HOME/.dircolors" ] && DIR_COLORS="$HOME/.dircolors"
        [ -e "$DIR_COLORS" ] || DIR_COLORS=""
        eval "`dircolors -b $DIR_COLORS`"
        alias ls='ls --color=auto'
        #alias dir='ls --color=auto --format=vertical'
        #alias vdir='ls --color=auto --format=long'
    fi
  3. (alternative to step 1.ii) Patch the file. Using the attched 'bashrc.patch' file, patch the current '~/.bashrc' file instead of cutting/pasting with an editor.
    Code:
    skoal@morpheus:///tmp $ bunzip2 bashrc.patch.bz2
    skoal@morpheus:///tmp $ cp bashrc.patch ~
    skoal@morpheus:///tmp $ cd && patch -p0 < bashrc.patch
    patching file .bashrc
    Hunk #1 succeeded at 19 (offset 5 lines).
2. Create the '.dircolors' file. The '.dircolors' file is created by using the 'dircolors' program. It will generate a default color scheme to be used with the "LS_COLORS" environment variable, which gives the colored output while using "ls".
Code:
skoal@morpheus:///tmp $ cd && dircolors -p > .dircolors
3. Edit the '.dircolors' file. Here is where you will be modifying/creating new color schemes to reflect your own unique style.

NOTE: Lines 34-41 within this file give you the color codes for three specific keys: attribute, text, and background. You can choose to use all three keys, or simply pick and choose only those keys you wish to apply. Look at some of the pre-defined ones you may already recognize as a good example to follow.
  1. Modify existing color schemes. For example, I can't stand big bold blue directory listings, so I change the bold attribute from "01" to "00" (none) but keep the blue color. It will lighten things up a bit.
    Code:
    FILE 00         # normal file
    DIR 00;34       # directory
    LINK 01;36      # symbolic link.
    or, change the "01" to an "07", making your debian packages really stand out!
    Code:
    .gz  01;31
    .bz2 01;31
    .deb 07;31
    .rpm 01;31
    .jar 01;31
    which will "reverse" the red (31) foreground color - basically making it black text inside a red box! Whoa! Ugly but effective, no?

  2. Create new color schemes. I like to program, yet for some reason, there are no default colors for well known language extensions. I like my c/c++ source to show up as green and my header files as yellow. Here's how I added these extensions to the bottom of that file:
    Code:
    # audio formats
    .ogg 01;35
    .mp3 01;35
    .wav 01;35
    
    # programming languages
    .c 00;32
    .cc 00;32
    .cpp 00;32
    .h 00;33
4. Source the '.bashrc' file. In order for your changes to take effect within the current shell, you need to source the '.bashrc' file.
Code:
skoal@morpheus:///tmp $ cd && . .bashrc
** END of Howto **

and, just to see your handy work, look at these two environmental variables:
Code:
skoal@morpheus://~ $ set | grep 'DIR_COLORS\|LS_COLORS'
DIR_COLORS=/home/skoal/.dircolors
LS_COLORS='no=00:fi=00:di=00;34:ln=01;36:pi=40;33:so=01;35:do=01;35:bd=40;33;01:cd=40;33;01:or=40;31;01:ex=01;32:*.tar=01;31:*.tgz=01;31:*.arj=01;31:*.taz=01;31:*.lzh=01;31:*.zip=01;31:*.z=01;31:*.Z=01;31:*.gz=01;31:*.bz2=01;31:*.deb=01;31:*.rpm=01;31:*.jar=01;31:*.jpg=01;35:*.jpeg=01;35:*.gif=01;35:*.bmp=01;35:*.pbm=01;35:*.pgm=01;35:*.ppm=01;35:*.tga=01;35:*.xbm=01;35:*.xpm=01;35:*.tif=01;35:*.tiff=01;35:*.png=01;35:*.mov=01;35:*.mpg=01;35:*.mpeg=01;35:*.avi=01;35:*.fli=01;35:*.gl=01;35:*.dl=01;35:*.xcf=01;35:*.xwd=01;35:*.ogg=01;35:*.mp3=01;35:*.wav=01;35:*.c=00;32:*.cc=00;32:*.cpp=00;32:*.h=00;33:'
NOTE: These color changes will be preserved upon each reboot or login. If you wish to revert to the original color scheme, just delete the file '.dircolors' in your $HOME directory (or, alternatively, restore your backup file made in step 1.i).
Code:
skoal@morpheus:///tmp $ rm -f ~/.dircolors
NOTE: I've only tested this with a plain 'ole vanilla stock 'xterm'. I do not use gnome-terminal, kterm(?), or any other variants but it should work equally well with them. I do not use any file managers of any sort, so without some MIME associated icon staring me in the face, these colors really help. Using 'dircolors' is old as dirt, and I'm surprised no one else hadn't mentioned this yet. Am I the only one who thinks CLI+color > [insert favorite File Manager here]? Surely, I'm not alone. Or am I...

\\//_

Last edited by skoal; June 13th, 2005 at 09:28 PM..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SysinternalSuit 의 junction.exe 로 Symbolic Link 를 만들 수 있다.
단, NTFS 에서만 지원하고, Directory 만 Link 할 수 있다.

그리고 주의할 점은, Symbolic Link (Junction) 을 삭제 시에는 반드시
junction -d <junction> 으로 삭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Redhat 의 ntsysv 같은 툴을 원하면, ubuntu 에서는 rcconf 설치해서 사용하도록 한다.


그런데, 위의 rcconf 보다 좀더 기능이 있는것이 sysv-rc-conf 이다.
아래 처럼, Runlevel 별로 rc.d 의 config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바로 서비스를 start / stop 할 수도 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1. 자신의 hostname 을 확인해 봅니다.
초기에 설정을 안하고 기본값으로 설치 하신분들은 ubuntu로 되어 있을 겁니다.
windpyj@ubuntu:~$ hostname
ubuntu


2. /etc/hostname 파일을 열어보시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을 겁니다.
windpyj@ubuntu:~$ sudo vi /etc/hostname

ubuntu


3. 변경하고자 하는 hostname을 넣어주고 저장하시면 됩니다.

#ubuntu 기존것은 주석처리 하였습니다.

servermaster.pe.kr


4. servermaster.pe.kr 로 변경을 하였습니다.
다음 명령을 수행한 후 다시 로그인을 하면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windpyj@ubuntu:~$ sudo /bin/hostname -F /etc/hostname


5. 다시 로그인 하면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windpyj@servermaster:~$

windpyj@servermaster:~$ hostname
servermaster.pe.kr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Linux 용 nmon 은 SourceForge 에서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음.

다운로드는 http://nmon.sourceforge.net/pmwiki.php?n=Site.CompilingNmon
에서 .c 소스와 makefile 다운 받으면 된다.

makefile 내에 보면, 플랫폼 별로 분기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적당히 내 플랫폼에 맞는것 고른 후에
make <make 상에 있는 분기 라벨> 하면 된다.

ubuntu 에서는 libncurses5-dev 패키지를 다운받아야 ncurse 헤더 참조하여 컴파일 가능하다.


위 그림처럼 그래피컬한게 쫌 이뻐졌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사용자 계정추가.

1.사용자 계정명과 ID(식별번호)는 유일해야 합니다.

2.모든사용자는 하나의 그룹에 속해야 합니다.

 

위의 두가지를 확인하기 위해 /etc/passwd /etc/group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셔서

중복되는 계정명과 ID는 없는지, 어느 그룹에 속할것인지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말씀하신 100번이란 ID는 식별번호를 말하는것이고 계정명(user name)은..물론 숫자로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영문으로 만들죠.^^

 

예) 계정명 - user1, 식별번호 - 100

      소속그룹 - staff, 식별번호 - 10 -> 기본그룹 말고 추가하시겠다면[ #groupadd -g 100 '그룹명' ]이렇

                                                        게 추가 하시고 /etc/group 파일을 확인하시면 생성된 내용을 보실수

                                                        있습니다.

      홈디렉토리 - /export/home/user1 -> 계정의 홈디렉토리가 됩니다.

      사용 shell - /bin/csh -> 기본제공되는 sh,csh,ksh 중에 택일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결정이 되셨다면,

#useradd -u 100 -g 10 -d /export/home/user1 -m -s /bin/csh user1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사용자계정및 사용자그룹의  ID(식별번호)중에서 0~99번까지는 시스템에서 특별계정용으로 예약이 되었습니다.

일반계정은 100번 이후부터 사용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solaris도 많은 UNIX계열의 OS와 같이 터미널이나 콘솔창을 이용하여 작업한다.

(터미널을 열기위해서는 Xwindow에서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 도구 -> 터미널을 실행하면 된다.)

 

★ ifconfig

   => ifconfig는 주로 내가 사용하는 OS의 네트워크 주소를 알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냥 ifconfig라고 입력하게되면 ifconfig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 나온다(옵션이 필요한 명령어)

 

     ● ifconfig <interface>

        =>현재 설정되어있는 interface(랜카드) 네트워크의 주소에 대한 설정값을 확인할 수있다.

      (ex)# ifconfig pcn0 (pcn0랜카드에 설정된 주소값을 보여준다)

           # ifconfig -a (모든 랜카드에 설정된 주소값을 보여준다.)

 

     ● ifconfig <interface> <plumb/unplumb>

       =>인터페이스 연결을 <연결함/비연결>을 설정한다.

       (ex)# ifconfig pcn0 unplumb (일단 기본적으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먼저 비연결을 설정해본다.)

            # ifconfig -a (연결이 해제되었는지 확인)

            # ifconfig pcn0 plumb (다시 연결해보자~)

            # ifconfig -a (다시 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

 

     ● ifconfig <interface> <ip address> netmask <netmask value> <up/down>

       => 인터페이스의 IP주소의 값을 변경시에 사용 (up은 활성화이고, down은 비활성화이지만

          대부분 down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ex)# ifconfig pcn0 192.168.40.65 netmask 255.255.255.0 up (pcn0인 랜카드의 주소값을 변경하였다)

         # ifconfig -a (주소가 제대로 변경되었는지 확인)

 

   ※ ifconfig로 주소 변경시 하드가 아닌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리부팅시 모든 변경사항이 다시 초기화된다.

       (변경전 설정사항으로 변경)

 

 

★ netstat

    => 각각의 프로토콜을 가진 활성화된 소켓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netstat -a =>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와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의 모든 소켓과 모든 라우팅테이블의 정보를 보여준다.

  netstat -g => 모든 인터페이스가 가진 멀티캐스트 그룹 구성원들을 보여준다.

  netstat -i => IP 경로가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보여준다.

  netstat -m => STREAMS 메모리 통계를 보여준다.

  netstat -n => 네트워크 주소를 숫자로 보여준다.(netstat는 기본적으로 상징적인 주소를 보여준다.)

  netstat -p => 미디어 테이블의 통신망을 보여준다.

  netstat -r =>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준다.

  netstat -s => per-protocol 통계를 보여준다.

  netstat -v => 소켓과 STREAM 메모리 통계, 라우팅 테이블을 가진 추가적인 정보를 보여준다.

  netstat -I <interface> => 개별적인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보여준다.

  netstat -M => 멀티캐스트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준다.

  netstat -P protocol => 적용되는 프로토콜의 모든 소켓과 통계를 제한적으로 보여준다.

  netstat -D => 인터페이스를 설정한 DHCP의 상태를 보여준다.

 

 (ex) # netstat -rn => 라우팅 테이블을 숫자로 보여준다.

       # netstat -an => 모든 소켓과 모든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숫자로 보여준다.

 

 

★ PING

   => 입력한 주소로 ICMP를 보내 연결이 되는지 확인한다.

   ▶ PING [옵션] <주소> (옵션이 없는 경우 간단하게 alive(연결됨) , no answer(응답없음)으로 표현

   ※ 여러 옵션이 있지만 그다지 사용하는 것은 없고, 리눅스를 사용하신 분들이라면

        -s 옵션을 이용해 리눅스에서 핑을 날리는 것과 같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ex) # ping -s 168.126.63.1 => KT DNS로 핑을 날린다.

          (실패시 네트워크 설정 확인해볼것. (가상머신 사용시에는 메인 OS의 방화벽이 존재하는지 확인해보자~!))

          (핑을 중간에 멈추지 않으면 무한대로 날리게 되니 "ctrl + c"를 눌러 멈추자)

 

★ DNS client 설정 파일

    => 웹페이지를 열기위해서는 도메인 이름 서비스를 제공하는 DNS 서버로 접속해야한다.

        솔라리스에서는 DNS로의 접속 설정을 환경설정 파일을 이용하여 접근이 가능하다.

 

     # vi /etc/resolv.conf => 아마도 막 설치를 하신분은 이 파일이 없을 가능성도 있으니, 새로만들자.

      nameserver 168.126.63.1  => KT DNS로 접근한다.

       (vi에디터를 처음 쓰시는 분들은 "i"버튼을 누르면 입력이 되고 모든 입력이 끝나면 "Esc"버튼을 누르고

        ":wq"(저장후 나감)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빠져 나오자~!)

       ※ 읽기 전용 파일의 경우 ":wq"로 저장후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wq!"를 입력해 강제로 저장하구 빠져나오자

     # cat /etc/resolv.conf => 제대로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하자.

     # vi /etc/nsswitch.conf => DNS를 사용하려면 이 환경설정파일을 변경해주어야 한다.


      이런 화면이 보여지는데 (이 화면은 vi를 실행하고, ":set nu"를 입력하면 위의 화면과 동일하게 나온다.)
      이 화면에서 12번째 줄에 있는 "hosts:    files""hosts:    files   dns"라고 입력한 다음
       저장하고 빠져나오자.(저장하는 방법은 위에서 잠깐 언급했다.)
 
 
★ 네트워크 관련 파일 확인하기
 
 # cat /etc/hosts => 아이피와 컴퓨터 이름이 저장 되어 있는 파일 (간이 네임서버 파일로 사용 가능)
 
 위의 그림과 같을 경우, ping이나 telnet등을 접속할 때 xp주소를 192.168.40.1이라고 직접 입력하지 않고 "xp"라고만 
 입력해도 192.168.40.1과 같은 주소로 인식한다.(이런식으로 자주 통신하는 주소를 별칭으로 만들어서 작업하면 편하다.)
 
 # cat /etc/defaultrouter => Default Gateway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 cat /etc/netmasks => Netmask 값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
 # cat /etc/resolv.conf => 네임서버의 주소가 저장되어 잇는 파일
 # cat /etc/nsswitch.conf | grep hosts => 네임 서비스 사용 순서가 보인다.
   (여기서 "|"은 \버튼을 shift와 같이 누르면 나온다. 헷갈리지 말자~!)
 # cat /etc/hostname.pcn0 => 부팅시에 랜카드에 설정할 아이피를 가리키고 있는 호스트 네임이 저장된 파일
    ※hostname다음에 붙는 pcn0는 랜카드이므로 만약 다른 이름을 가진 랜카드를 사용한다면 hostname다음에
       현재 설치된 랜카드이름을 넣으면 된다.(대부분 pcn으로 잡힌다. vmwaretool설치시 vmxnet0로 잡힌다.)
 
==> 부팅시 /etc/hostname.pcn0 파일의 컴퓨터 이름을 /etc/hosts 파일에서 찾고 그 아이피를 랜카드에 할당한다.
 
 
★ 호스트 네임 변경 파일
  => 호스트 네임을 변경하기에 앞서서 자신의 호스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아래의 파일들을 변경하여 네임을 변경하자~!
 
   # hostname => 현재 자신의 호스트 네임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 hostname <변경할 네임> => 현재 자신의 호스트 네임을 변경할 네임으로 바꾼다. (터미널을 다시 열어서 확인)
                                        단, 이방법은 재부팅시에는 다시 바뀌기 전의 이름으로 설정된다.
   # cat /etc/hosts => 위에서도 한번 언급되었지만, 부팅시 컴퓨터 이름을 이곳에서 찾는다.
  ◎다음 아래의 파일들을 살펴보면 다 같은 호스트 네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cat /etc/nodename
   # cat /etc/hostname.pcn0
   # cat /etc/net/ticlts/hosts
   # cat /etc/net/ticots/hosts
   # cat /etc/net/ticotsord/hosts
   => 호스트 네임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일단 /etc/hosts에 호스트네임과 IP주소를 지정하고,
      아래 5개파일에서 호스트 네임을 변경하고자 하는 호스트 네임으로 변경해주면 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1. 커널 최신판으로 업그레이드
 설치에 앞서, 커널을 최신판으로 업데이트 해야 한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이러면, 패키지 목록을 최신버전으로 가져오고, 모든 패키지 및 커널을 업그레이드 한다

2. dkms 패키지 설치

 dkms 패키지를 설치해야 커널 모듈을 컴파일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성되므로, 해당 패키지를 설치 한다

$ sudo apt-get install dkms

3. build-essential 및 linux-header-XXXXX 패키지 설치

 Guest Addition 을 설치할 때, 커널 모듈을 추가하고 커널을 재컴파일 하기 위해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linux-headers-`uname -r`
 linux-headers-`uname -r` 명령 활용하여 정확한 버전 갖고온다

4. VirtualBox Guest Addition 설치
 VirtualBox 의 VM Guest 화면에서, "장치>게스트 확장 설치.. " 메뉴를 클릭하여, VBox Guest Addition ISO 이미지를 Mount 시킨다.

 그리고, /dev/cdrom1 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mnt/cdrom 같이 적절한 곳에 mount 한다
$ sudo mount /dev/cdrom1 /media/cdrom

 Mount 한 CD-ROM 에서, VBoxLinuxAddition-x86.run 을 싫행시킨다. (Guest OS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VBoxLinuxAddition-x86.run

 커널 컴파일까지 잘 진행됐으면 성공이다.

커널 컴파일 후에, X-Server 관련한 컴파일을 시도하는데, 이때 X 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이면, Fail 이 나도 상관 없다. 그 전단계인 모듈 컴파일 하고, 커널 컴파일까지만 잘 되면 된다.

5. 시스템 재부팅 및 확인

 시스템을 재부팅 하고, 아래 명령으로, 모듈이 잘 올라왔는지 확인한다.
$ lsmod | grep vboxvfs

 결과가 나오면 커널에 잘 올라간 것이고, 없으면 이상 있는게다.

6. vboxsf 마운트 시키기

 이제 본격적으로, 공유된 디렉토리를 접근하기 위해 Mount 한다.
 이때, VM 설정에 추가한, 공유디렉토리의 이름으로 Mount 를 해야 하므로, 해당 이름을 잘 알아두어야 한다.

 해당 공유이름은 아래 명령의 결과 중에 Shared folders: 쪽에서 찾을 수 있다.
$ VBoxManage showvminfo "VM 이름"

 만약 Shared folder 이름이 SHARED 리고 가정하고, /mnt/vm_shared 로 마운트 하려면,
$ mount -t vboxsf SHARED /mnt/vm_shared
와 같이 Mount 하면 사용 가능하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