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kg -l

하믄 됨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일단, VMWareTools 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VMWareTools 는, VMWare 의 Guest OS 실행하면, 하단에 나오는 Install 버튼 누르고,
/dev/cdrom 을 mount 한 다음, 안에 있는 VMWare어쩌구_install.pl 파일인가를 실행해주면 된다.
마운트 하기 : $ mount /dev/cdrom /media/cdrom

툴이 설치 완료 된 후에, Shared Directory 를 VMWare 의 VM 설정 중 Option 에서 해주면 일단 환경은 된것이다.
 (Guest 재부팅 필요 없음)


위 처럼 lsmod 했을 때, vmhgfs 가 로드 되어있으면 문제 없는 것이다.

만약 로드안되어있으면
$ modprobe vmhgfs
를 한다

잘 되었다면
/mnt/hgfs
에서 공유된 디렉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Windows7 을 깔면서, VMWare 를 7으로 업데이트 하고, 이전 Ubuntu Guest 를
디렉토리 복사 해서, VMWare 에 물렸는데, 이놈이 ifconfig -a 로 보면, eth0 가 안올라 온다.
그리고, eth1 이 올라오면서, 에러가 나서 IP 할당도 못받아 있다.

$ lspci
해서, Ethernet 이 인식이 됐는지 우선 확인해 보고,

$ dmesg | grep eth
해보면, 부팅할 때 뭔가 문제가 있었나 볼 수 있다.

내경우는
udev: renamed network interface eth0 to eth1
이라는 퐝당한 메세지가 잡혔다.

원인은, MAC Address 가 바뀌어서 그런 듯 하다.
방법은 두가지 이다

  • edit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and correct the eth0 to MAC address mapping, or
  • edit /etc/network/interfaces and change eth0 to eth1
  • 아래 방법은 eth0 을 못쓰고, eth1 으로 쓰겠다는 것이니,
    위의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실제로 70-persistent-net.rules 파일을 열어보면

    위 처럼 되어 있다.

    여기서 두번째 (빨간색) 놈은, 부팅 하면서 udev 가 추가해준 것이다. 즉, 현재 설정이다.
    오른쪽에 보면 현재 MAC Address 가 있는걸 볼 수 있다. 또, 가장 마지막에 보면 NAME="eth1" 으로 되어있다.

    그럼, 간단하게, 위에있는놈을 삭제해주고, NAME="eth1" 을 eth0 으로 바꿔주고
    시스템을 reboot 한다.

    잘 작동 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