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이전에 생성한 프로젝트 내부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Project 를 만들고 나면, 좌측의 Project View 를 통해서 res/layout 디렉토리에 생긴 메인 Activity (New Project 에서 생성한)를 열어본다.

위와 같은 구조의 프로젝트 내 파일들이 보이게 된다.


Activity Layout

Activity 의 Layout 을 정의하는 XML 이며, Design 과 Text (코드)를 볼 수 있는 Tab 이 모두 존재한다.


이 Activity Layout XML 에는 앱 상단의 앱바와 Floating Action Button 같은 (향후에 더욱 자세히 보도록 하고) 컴포넌트의 속성이 XML 의 Element 와 Attribute 로 설정되어있다

위 처럼 기본적인 Blank Activity 를 생성하면 Action Bar, Content, Floating Action Button 이 생성된다.

Activity 의 전체적인 Layout 은 activity XML 에 정의가 되고, TextView 로 구성된 Content 영역은 content XML 에 정의되어있다. 

Activity XML 의 중간 쯤에 보면

<include layout="@layout/content_hello" />

이 들어가 있고, 이렇게 content_hello 라는 Layout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include) 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content_hello.xml 파일을 보면

    <TextView
        android:layout_width="wrap_cont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text="Hello World!" />
</RelativeLayout>

위 처럼 TextView Element 로 추가적인 Layout 이 구성됨을 볼 수 있다. 텍스트 내용으로 "Hello World!" 라는 텍스트도 보인다.


Main Activity.java

app\src\main\java\com\goodjoon\helloandroid\HelloActivity.java 파일을 열어본다. 
현재 Main Activity 는 HelloActivity 로 등록되어 있으며. Activity XML 리소스 파일이 이 java 파일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hello); 
    Toolbar toolbar = (Toolbar) findViewById(R.id.toolbar);
    setSupportActionBar(toolbar);

앱을 실행시키면 이 Activity 클래스가 실행되고 Main Activity XML 리소스가 로드되어 Hello World! 가 출력되는 메인 Activity 가 나옴을 확인할 수 있다.


앱 Manifest

app\src\main\AndroidManifest.xml 파일은 앱의 기초적인 특성과 각 컴포넌트를 정의하는 파일이다. 컴포넌트를 추가하면 이 파일이 지속적으로 변경되게 된다.


Gradle 빌드파일

app\build.gradle 파일은 Project View 에서는 "Gradle Scripts" 라는 별개의 그룹으로 표시되는데, 실제 위치는 app\ 디렉토리 밑에 존재한다.

Android Studio 는 앱을 컴파일 하고 빌드하는데에 Gradle 을 사용한다. 

프로젝트의 각 모듈 별로 build.gradle 파일이 존재하며 프로젝트 전체에 또 하나의 build.gradle 파일도 존재한다. 보통 각 모듈 내의 build.gradle 파일이 주요 관심 대상이 된다. 지금 모듈은 app 모듈이다.


위의 build.gradle 은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build.gradle 스크립트 (프로젝트디렉토리\build.gradle)이고, app 모듈에 대해 build.gradle 파일(프로젝트디렉토리\app\build.gradle)이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Module build.gradle 파일 안에 보면 defaultConfig 을 포함한 몇가지 설정이 있다


apply plugin'com.android.application'

android {
    compileSdkVersion 23
    buildToolsVersion "23.0.2"

    defaultConfig {
        applicationId "com.goodjoon.helloandroid"
        minSdkVersion 17
        targetSdkVersion 23
        versionCode 1
        versionName "1.0"
    }
    buildTypes {
        release {
            minifyEnabled false
            proguardFiles getDefaultProguardFile('proguard-android.txt'), 'proguard-rules.pro'
        }
    }
}

dependencies {
    compile fileTree(dir'libs'include: ['*.jar'])
    testCompile 'junit:junit:4.12'
    compile 'com.android.support:appcompat-v7:23.1.1'
    compile 'com.android.support:design:23.1.1'
}

  • compileSdkVersion 
    앱을 Compile 하기 위해 사용하는 Platform SDK 의 버전을 명시한다.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SDK 버전 중 가장 최신의 SDK 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있다. 위 설정에서는 API Level 23 (=SDK Version 23 = Android 6.0 = 마쉬멜로우) SDK 를 사용하도록 되어있으므로, 만약 SDK 가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SDK Manager로 SDK 를 설치해야 한다.
    SDK 버전이 높다고 해서 구버전 앱을 빌드할 수 없는게 아니며(하위호환성 유지) 오히려 낮은 버전의 SDK 로 빌드하게 되면 더 높은 버전의 Platform 에서는 새로운 기능을 사용할 수 없거나 더 좋은 UX 를 사용할 수 없게된다.
  • applicationId
    New Project Window 에서 지정했던 Package 이름으로, App 의 유일한 식별자이다.
  • minSdkVersion
    현재 앱이 지원하는 가장 낮은 SDK 버전을 지정
  • targetSdkVersion
    현재 앱이 지원하는 가장 높은 SDK 버전. 자신이 테스트해본 가장 높은 버전을 명시하면 된다


기타 리소스

  • drawable-<density>/ 리소스 디렉토리 <ldpi(0.75), mdpi(1.0), hdpi(1.5), xhdpi(2.0)>
    이 디렉토리에는 밀도 독립 픽셀(DIP: Density Independent Pixel)별 drawable 이미지나 아이콘 같은 "그려지는" 리소스가 위치한다. DIP 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설명하도록 하자. 일단, Android 는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기기가 많으므로, pixel (px) 단위가 아닌 dp 나 sp 단위로 크기를 지정해야 한다.
    참조는 @drawable/image.png 와 같이 사용한다.

  • layout/
    activity XML 과 같이 앱의 UI 를 정의하는 파일들이 위치한다. 

  • menu/
    앱의 메뉴 아이템을 정의하는 파일들이 위치

  • mipmap/
    Launcher 아이콘(앱아이콘)으로, drawable/ 폴더 대신 이 폴더를 사용한다. ic_launcher.png 아이콘 이미지들이 해상도별로 들어있다.

  • values/
    String 이나 Color 정의와 같은 리소스 컬렉션을 포함하는 XML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


 4년 간 Hybrid Mobile App 개발도구를 포함한 MEAP 솔루션 개발을 리딩해왔지만 모바일쪽 개발은 주로 iOS 만을 해왔다. 안드로이도 개발은 직접 하지 않았는데, 올해 사적인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하기 위해 안드로이드쪽 앱을 직접 개발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다.

 작년 초반 까지만 해도 Eclipse에 Android Development Tools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XCode 의 Command Line Build 를 함께 쓰도록 하여 Hybrid App 개발툴킷을 만들었지만 작년 중반 이후에 Google에서 Android Studio 만을 사용하도록 강력히 밀고있는 상황이라 난 Android Studio 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일단, Android Studio 를 다운로드 받는다


■ 신규 프로젝트 생성

Android Studio를 설치 후 실행하면, 아래 처럼 New Project Window 가 실행된다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하므로, "Start a new Android Studio Project" 를 선택


New Project 화면에서의 요소별 설명은 다음과 같다

  • Application Name - 사용자에게 보여질 앱 이름이다
  • Company Domain - 실제 Domain 일 필요는 없고, App 을 구별하기 위한 Package ID 의 base 값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goodjoon.com 을 넣으면 자동으로 Package Name 이 com.goojoon.<소문자 기반으로한 앱 이름>
  • Package Name - Application Name 과 Company Domain 을 조합하여 만든 Package 이름이다. 이게 Android App 을 식별하는 유일한 이름이 된다

※ 한글 앱 이름

앱 이름이 한글이면, Package Name 이 자동생성 되지 않는다 이때는 Package Name 우측에 보이는 "edit" 를 클릭하여 수동으로 패키지 이름을 변경해주면 된다.

또한 가급적이면 Project location 에 한글명이 들어가는 경로는 피하도록 하자.


이제 Target Android Device 를 선택한다. Minimum SDK 목록을 보면 이제 친절하게도 API Level 과 함께 OS 이름도 나온다. 이 SDK 를 잘 설정해주어야 나중에 어떤 버전 기기에서는 보이네 안보이네 하는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더 놀라운것은, SDK 를 선택하면, 세계적으로 해당 SDK 버전 이상의 OS 사용자 비율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위 화면에서는 4.2 젤리빈으로 개발하면 전세계 약 81.4% 의 Android 기기에 설치될 수 있는 앱을 개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 이렇게 SDK 까지 선택한 후, 처음 실행 될 Activity 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다음 편에서는 Android 의 Activity 가 무엇인가 부터 찬찬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Good Joon

IT Professionalist Since 1999

,